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자연선택에 대해 나의 온 지식을 동원해서 설명하고 싶지만


자연선택이 현제 진화론의 기본개념이기에 자칫 나의 실수로 이것이 왜곡될까 두려워 네이버캐스트 내용을 참조하고자 한다.



생물의 세계는 서둘러 원리로 정리하기에는 너무나 다양하다

물리학자들이 생물학자들에게 던지던 힐난은 유치한 것으로부터 심각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뉴턴과 아인슈타인의 확인되지도 않은 IQ 수치를 들먹이며 생물학자로 그들에 대적할만한 사람이 있느냐는 물리학자들의 유치한 집안 자랑에 생물학자들은 속수무책으로 당황해 했다. 보다 심각한 도전은 생물학에 진정 물리학처럼 자연 현상의 고유한 속성을 일반화하는 원리(principle)가 있기나 한 것이냐는 질문이었다. 온갖 수준의 원리들로 중무장한 물리학과 달리 생물학은 태생적으로 원리를 앞세워 사물의 특성이나 현상을 가지런히 정리하기보다는 다양한 관찰결과들을 풍성하게 쌓는 걸 더 좋아한다. 생물의 세계는 서둘러 원리로 정리하기에는 너무나 복잡하고 다양하다.

 

 

진화가 일어나기 위한 4가지 조건 : 변이, 유전, 경쟁, 자연선택

굳이 생물학에도 원리가 있다고 밝히려는 것은 아니지만 다윈의 진화론은 원리라고 일컫기에 아무런 손색이 없기에 설명해 보고자 한다. 1858년 월리스(Alfred Russel Wallace)와 함께 영국 린니언 학회(Linnean Society)에서 발표한 논문에서 다윈은 진화가 일어나기 위한 조건으로 다음의 네 가지를 들었다. 

 

1. 한 종에 속하는 개체들은 각자 다른 형태, 생리, 행동 등을 보인다. 즉 자연계의 생물 개체들간에 변이(variation)가 존재한다.
2. 일반적으로 자손은 부모를 닮는다.  즉 어떤 변이는 유전(heredity)한다.
3. 환경이 뒷받침할 수 있는 이상으로 많은 개체들이 태어나기 때문에 먹이 등 한정된 자원을 놓고 경쟁(competition)할 수밖에 없다.
4. 주어진 환경에 잘 적응하도록 도와주는 형질을 지닌 개체들이 보다 많이 살아남아 더 많은 자손을 남긴다(자연선택 natural selection).

  

변이가 있어야 선택이 의미가 있다

첫째 조건인 변이에 관하여 잠시 살펴보자. 자연계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형질들에는 대체로 변이가 존재하기 마련이지만 만일 변이가 없다고 가정한다면 선택의 여지도 없다. 형질(character)이 동일한 개체들간에는 아무리 빈번한 선택이 벌어진다 해도 변화가 일어날 수 없기 때문에 자연선택은 변이를 가진 형질에만 적용된다. 고등학교 시절 수학 시간에 “주머니 속에 검은 공 X개와 흰 공 Y개가 있는데 무작위로 Z개의 공을 꺼낼 때 검은 공과 흰 공의 비율이 W:V일 확률은 얼마인가?” 따위의 문제를 풀던 기억이 나는가? 그런데 만일 이 문제를 “주머니 속에 검은 공 만 X개가 있는데 그 중에서 무작위로 Z개를 꺼낼 때 그 공들이 모두 검은 공일 확률 또는 흰 공일 확률은 얼마인가?”로 바꾼다면 어찌 되겠는가? 다윈은 변이가 바로 변화를 일으키는 실체라고 설명한다.



11111111111.jpg

식물을 조사하는 유전학자

 

 

유전하는 것만이 자연선택의 대상이다

이러한 변이들 중 유전하는 것만이 자연선택의 대상이 된다는 것이 둘째 조건이다. 다세포생물은 기능적으로 서로 다른 두 가지 종류의 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는 몸의 구조를 이루는 체세포(somatic cell)이고 다른 하나는 번식을 위해 만들어지는 생식세포(reproductive cell)이다. 한 생명체가 생애를 통해 아무리 많은 변화를 겪는다 해도 그것이 생식세포내의 변화가 아니면 다음 세대로 전해질 수 없다. 체세포의 변화는 당대에만 나타날 뿐 자손에는 전달되지 않는다. 이것이 바로 라마르크의 ‘획득형질의 유전’ 개념의 맹점이다. 당신이 만일 금발의 딸을 원한다면 ‘금발 유전자’를 지닌 북구의 여인과 결혼해야지 미용실에서 금색으로 머리를 염색한 한국 여성과 결혼할 일은 아니라는 말이다.

 

 

한정된 자원 때문에 경쟁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셋째 조건은 다윈이 경제학자 맬서스(Thomas Malthus)의 ‘인구론(1798)’을 읽고 깨달은 개념이다. 다윈이 태어나기 이미 10여 년 전에 발표된 이 논문에서 맬서스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에서 만일 환경적인 제한요인이 없다면 그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성장함을 관찰했다. 맬서스의 영향으로 수학을 끔찍하게 싫어했었다는 다윈도 “고통을 감수하며” <종의 기원>에서 다음과 같은 계산을 했다.

코끼리는 대개 30세가 되어야 번식을 시작하여 100세 정도에 멈추는데 암컷 한 마리가 평균 여섯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만일 코끼리 한 쌍이 750년 동안 번식을 한다면 [그리고 일단 태어난 코끼리는 아무도 죽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거의 1천9백만 마리의 코끼리가 태어날 것이다(Darwin 1859).

 

내가 최근에 번역하여 내놓은 <벌들의 화두>에는 20세기 초 두 사람의 곤충학자들이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해낸 것을 소개하고 있다.

4월에 활동을 시작한 한 쌍의 파리의 자손이 만일 모두 살아남는다면 8월쯤에는 파리가 191,010,000,000,000,000,000 마리나 될 것이다. 

 

한 마리의 파리가 어림잡아 2cm3의 공간을 차지한다고 가정하면 이는 지구 전체를 14미터의 높이로 뒤덮는 수치이다. 현대생태학의 발달에 누구보다도 큰 공헌을 한 생태학자 로버트 맥아더(Robert MacArthur)는 훨씬 더 자극적인 계산을 했다.  

만일 20분마다 세포분열을 하는 박테리아가 있다고 가정하자. [태어난 박테리아는 아무도 죽지 않으며 자원도 무한정 공급된다고 가정하면] 36시간 후면 박테리아의 살이 지구의 표면을 한 자 가량 뒤덮을 것이다. 그 후 한 시간이면 우리 모두의 키를 넘길 것이고, 몇 천년 후면 어느 생물이라도 그 무게가 우주의 무게와 맞먹을 것이며 그 부피는 저 우주를 향해 빛의 속도로 팽창할 것이다 (MacArthur 1972). 

 

실험실 배양접시에서 자라는 박테리아가 한없이 성장하여 꿀꺽꿀꺽 넘쳐흐르지 않는 이유는 바로 한정된 자원 때문이다. 영양분을 계속 공급하기만 하면 공상과학영화의 외계생물이 우리 몸 안에서 성장하여 구멍마다 뚫고 기어 나오듯 넘쳐흐를지도 모른다. 죽음이 생명을 허락한다. 맬서스가 밝힌 대로 어느 개체군이건 대부분의 개체들이 번식기에 이르지 못하고 죽기 때문에 다른 개체들이 살아 남아 번식을 할 수 있는 것이다. 



222222222.jpg  '종의 기원'을 발표한 직후의 다윈(1809-1882)

 

 

모든 개체가 똑같은 수의 자손을 남기는 것이 아니다

자연선택의 넷째 조건은 셋째 조건의 자연스런 귀결로 나타난다. 어느 개체군이건 태어나는 모든 개체들이 다 번식의 기회를 갖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개체들은 번식기에 이르기 전에 죽어 사라지고 주어진 환경에 보다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형질들을 지닌 개체들만이 살아 남아 자손을 남기게 된다. 아무리 변이가 존재하고 또 유전한다고 하더라도 모든 개체가 다 번식기에 이르러 똑같은 수의 자손을 남긴다면 그 개체군의 유전자 빈도에는 아무런 변화도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진화란 유전자들이 자신들이 몸담고 있는 개체들의 번식을 도와 자신들의 복사체를 보다 많이 퍼뜨리려는 경쟁의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인간은 진화를 멈추지 않았다,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

진화생물학에서는 이 네 가지를 묶어 흔히 진화의 필요충분조건이라 부른다. 왜냐하면 이 네 가지 조건이 모두 함께 갖춰져야 진화가 일어날 수 있고 또 모두 갖춰지기만 하면 진화는 반드시 일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나는 “인간은 진화하기를 멈췄다”고 주장한 굴드(Stephen J. Gould)의 궤변을 용서할 수 없다. 그렇지 않아도 도시에 사는 현대인들은 우리 인간이 더 이상 발가벗은 채로 자연에 노출되어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다른 동물들처럼 자연선택의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오해를 하고 있는데 그걸 누구보다도 훤히 알고 있으면서 자신의 논리를 관철시키기 위해 거짓을 말한 그를 학자로서 존경하기 어렵다.

자연선택의 ‘자연’은 ‘인공’의 반대 개념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인위’의 반대 개념으로 쓰인 것이다. 저 산과 들의 자연에서 벌어지는 선택과정이라는 뜻보다는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이 아니라 구성원들간의 자연스런 관계 속에서 필연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메커니즘이다. 우리 인간이 더 이상 저 대자연 속에서 살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진화를 멈췄다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내가 위에 열거한 진화의 네 가지 필요충분 조건을 다시 한번 훑어보자. 우리들간에는 분명히 충분한 변이가 존재하고 그런 변이들의 상당수는 유전하며 여전히 치열한 경쟁을 거쳐 제가끔 다른 수의 자식을 남긴다.

 

 

아기 하나가 태어나는 순간 순간이 인간 진화의 현장이다

아기-1.jpg  

경제학에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과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이 있듯이 진화학에도 대진화(macro-evolution)와 소진화(micro-evolution)가 있다. 하나의 종(species)이 오랜 세월 동안 많은 변화를 거쳐 새로운 종으로 분화하는 것이 대진화라면 시간에 따른 개체군의 유전자 빈도의 변화, 즉 세대를 거듭하며 개체들의 형태, 생리, 행동 등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소진화라고 한다. 세대가 아주 짧은 미생물의 경우에는 우리가 실제로 종의 분화를 목격할 수 있지만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다세포생물의 대진화를 관찰하기에는 우리 자신의 수명이 턱없이 짧다.

사람들은 흔히 대진화를 진화의 전부로 착각한다. 그래서 진화가 멈췄다는 궤변에도 귀를 기울이게 되지만 소진화는 결코 멈출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이 글을 쓰고 있는 이 순간, 그리고 당신이 이 글을 읽고 있는 동안에도 지구상 어딘가에서 새 생명이 탄생하고 있다. 그 아기가 갖고 태어나는 유전체(genome) 때문에 우리 인류 전체의 유전자군(gene pool)의 구성은 미세하지만 분명히 변화했다. 이것이 진화의 현장이다. 진화의 필요충분 조건 네 가지가 모두 일어나야 하지만 그 중 어느 하나라도 일어나지 않을 확률은 거의 없다. 진화는 결코 멈출 수 있는 게 아니다.

 

 

자연선택설이 아니라 자연 선택의 ‘원리’라고 부르자

다윈의 진화론을 아직도 ‘자연선택설’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있지만 금년을 기해 그런 실례는 더 이상 범하지 않길 바란다. 다윈의 자연선택에 관한 설명은 더 이상 가설(hypothesis)의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게 아니다. 지난 150년 동안 혹독한 검증 과정을 거쳐 당당히 이론(theory)의 지위를 획득했다. 그래서 이제부터는 반드시 ‘자연선택론’ 또는 ‘자연선택의 원리’라고 부를 것을 주문한다. 위에 열거한 네 가지 조건만 갖춰지면 진화란 반드시 일어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보면 자연선택은 사물에 근거하여 성립하는 근본 법칙 즉 원리(principle)라고 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최재천 /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석좌교수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개미제국의 발견>,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대담>등이 있다. 2000년 제 1회 대한민국 과학문화상을 수상했다.

본문 사이트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76

진화론을 언급하며 모든 것이 우연히 된것이다. 라는 말을 종종한다.
하지만 위에 언급된것 처럼 진화는 변이, 유전, 경쟁, 선택이란 요건이 충족되어야지만 가능한 것이다.

또 진화론을 언급하며 진화론은 생명탄생을 증명하지 못하기에 틀렸다라는 말은 하는데

생물학으로서 진화론은 진화의 방향과 원인 목적등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본질적으로 생명이 어떤 방식으로 탄생했는가와는 상관이 없다는 
점을 밝히고 싶다





  1. 04
    Jun 2012
    01:02

    짧고 간결한 진화론 주장

    Category안티근본주의 Bygsm Views460
    Read More
  2. 03
    Jun 2012
    19:26

    과학이론은 항상 변했다?

    과학회의론자들이 하는 말중 과학적 지식은 절대적이지 않다. 항상 변한는 것이다. 이런 말을 하신다. The Relativity of Wrong By Isaac Asimov 며칠전 편지 한통을 받았다. 편지는 손으로 휘갈겨 쓰여져 아주 읽기가 어려웠다. 어쨌든 뭔가 중요한 내용일지도 모르기 때문에 겨우겨우 읽어내려갔다. 첫 번째 문장에서 보낸이는 영문학을 전공하고 있으며 그럼...
    Category안티근본주의 Bygsm Views625
    Read More
  3. 02
    Jun 2012
    05:07

    사티레브

    아래 이야기는 실제 있었는지 누군가 만든건지 나는 모르겠다. 그리고 이 이야기에 뒷부분을 계속 누군가 이어붙여 반증에 반증을 하는 분들도 있다. 암튼 이 이야기는 진화론을 가르치는 교수와 크리스천 학생과의 대화와 그 대화를 반증하는 사티레브라는 졸업생의 대화다. 교수: 자네는 크리스찬이지? 학생: 네, 교수님. 교수: 그래, 자네...
    Category안티근본주의 Bygsm Views853
    Read More
  4. 27
    May 2012
    07:26

    최재천교수님 인터뷰

    진화론 연구하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 - 『다윈 지능』최재천 맑스와 프로이트는 죽었으나, 여전히 살아남은 건 다윈. 그 이유는?! 다윈을 모르는 대한민국은 개발도상국도 아닌 후진국 최재천 교수(이화여대 에코 과학부). 한국에 다윈을 제대로 알리기 위해 가장 애쓴 학자 중의 한 명입니다. 2009년, 다윈을 제대로 알리기 위해 백방으로 뛰었고, 포털사이트 네이버에 <다윈...
    Category진화론 Bygsm Views1179
    Read More
  5. 27
    May 2012
    04:16

    지식인에 한 목사님

    아래글은 네이버 지식인에 한 목사님이 자신에 실명과 자신이 목사라는 것까지 공개하면서 남긴 진화론에 대한 답글이다. 편의상 붉은 글은 내생각 파란글은 목사님의 글이다. 목사님은 크게 몇가지 이유로 진화론을 부정하셨다. 하나는 세상모든것엔 그것을 만든 것이 있다는 즉 모든것엔 원인이 있다는 것 둘, 인간의 신체가 굉장히 복잡하다는것 셋, 과학자...
    Category안티근본주의 Bygsm Views575
    Read More
  6. 27
    May 2012
    03:49

    교회에서 가르치는 진화론?

    내가 개신교에 대해 혐오하게된 가장 큰 이유중 하나가 위와 같은 동영상이다. 중간부분에 설교부분은 나름 좋은 말씀이다. 자살하면 안된다. 근데 왜 그걸 진화론을 앞에 써놓고 말하냐는 것이다. 설교자는 말한다. 진화론은 물질에서 생명체가 나왔다는 것으로 진화론자들은 생명의 소중함을 알지 못한다. 그리곤 말한다 물질에서는 절대 생명체가 될수 ...
    Category안티근본주의 Bygsm Views504
    Read More
  7. 27
    May 2012
    02:50

    지상최대의 쇼

    이게시판에는 3개의 카테고리가 있다 하나는 관련글 이건 진화론에 관한 기사나 네이버캐스트등에 관련자료를 올릴생각이다. 한두번 정도는 진화론에 대한 중학생 수준에 개념정리를 간단하게 한번 정도 다룰까란 생각도 들고 두번째는 네이버 지식인 지식에서 활동하시는 스퀑크님이란 분이 계신데 얼마전 우연히 그분의 블러그에 가본적이 있는...
    Category진화론 Bygsm Views466
    Read More
  8. 26
    May 2012
    22:10

    진화론의 기본개념 자연선택

    자연선택에 대해 나의 온 지식을 동원해서 설명하고 싶지만 자연선택이 현제 진화론의 기본개념이기에 자칫 나의 실수로 이것이 왜곡될까 두려워 네이버캐스트 내용을 참조하고자 한다. 생물의 세계는 서둘러 원리로 정리하기에는 너무나 다양하다 물리학자들이 생물학자들에게 던지던 힐난은 유치한 것으로부터 심각한 것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뉴턴...
    Category진화론 Bygsm Views923
    Read More
  9. 26
    May 2012
    21:29

    evolutinary theory 진화론

    진화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무엇일까? 원숭이가 사람이 되는 이런 그림일까 아님 어릴적 교과서에 나왔던 시조새의 모습일까 혹은 확실하진 않지만 기린이 높은 나무에 있는 먹이를 먹기위해 목을 늘리다 현제처럼 목이 길어진것 같은 것을 진화론이라 어렴풋이 기억하고 있을까 어쩌면 이런식으로 말도 ...
    Category진화론 Bygsm Views67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Next
/ 10

Recent Articles

Gloomy의 비오는 일요일 홈피는 모든 저작권을 포기합니다.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